top of page

Seamless! 고교-대학간 연계 교사연구 보고회

  • 작성자 사진: INSOO OH
    INSOO OH
  • 2016년 2월 3일
  • 1분 분량

올 해 입학처를 통한 교내 연구 책임을 하나 맡고 있다. 고등학교 선생님들과 함께 대학 입시 관련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한다. 올 해로 7년차 연구가 진행 중인데 4년간 이 연구의 책임을 했다. 올해는 9분의 고등학교 선생님들과 두 팀으로 나누어 연구를 했는데 한 팀은 대학별 고사의 선행학습 영향평가를 분석하는 것이고 (사진의 왼쪽) 다른 한 팀은 최근 시행되고 있는 진로집중 교육과정의 평가방안에 관한 것이다(오른쪽).

말이 책임이지 사실 이 연구의 주체는 고등학교 선생님들이라 나의 역할은 선생님들의 연구를 돕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야말로 연구 도우미 정도. 사실 학교에서는 학생들 입시지도로 정말 바쁘신 분들인데 이렇게 연구에 응모하여 연구하는 분들은 보통 선생님들은 아니시다.

몇 년째 이 연구를 하다 보니 고등학교와 대학의 관계에 대해 여러 생각을 하게 된다. 두 기관 사이에 입시라는 너무 높은 장벽이 둘 사이의 소통을 막고 있다. 어찌 보면 입시가 두 기관을 연결해 주는 끈일 수도 있겠다. 간혹 교생지도로 고등학교를 방문할 때면 좋은 학생을 이대로 보내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면 이대 합격하는 방법을 정확히 알려달라고 부탁한다. 학생에 대한 정확한 평가기준을 알려주면 그에 맞춰 학생들을 준비시키겠다는 뜻이다. 입시를 포함하여 서로가 협력하고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 아직 까지는 그렇지 못하다. 최근에 고교-대학 연계 활동들이 다양한 형태로 여럿 시도되는데 아직은 상징적인 수준이라고 본다.

좋은 연계 교육을 설명할 때 등장하는 "seamless"라는 형용사가 갑자기 떠오른다. 두 개의 서로 다른 헝겊을 붙여 바느질하면 솔기(seam)가 생기게 마련이다. seamless education은 그러한 솔기가 느껴지지 않는 상태의 매끄러운 전환 교육을 의미할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다. 그러한 교육이 이뤄지려면 서로가 상대를 잘 알고 그 차이를 매우려는 노력이 필요한데 이 부분에서 대학의 관심과 태도는 아직 갈 길이 멀다.

 
 
 

Commentaires


추천 게시물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120-750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5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관 B동 571호

insoo@ewha.ac.kr
Tel: 02-3277-2662
Fax: 02-3277-2727

© 2014 by Insoo Oh.

Ewha School Counseling Research Lab 

My Joy - Christian Lindquist
00:0000: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