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18

Oh, I. & Song, J. (2018).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academic competence between parental abuse/neglect and school adjustment. Child Abuse & Neglect. 86, 393-40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academic competence between parental abuse/neglect and a child’s school adjustment by investigating 2,070 student surveys from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 (KCYPS). A path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ly, childhood abuse and neglec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and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note that the effect of neglect was bigger than that of abuse in this study. Secondly,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abuse/neglect and school adjustment. Thirdly, academic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neglect on school adjustment, while it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abuse on school adjustment.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neglect via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academic competence was stronger than that of parental abuse. The influence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s was discussed in terms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academic competence considering unique Korean cultural context.

Song, J. & Oh, I. (2018). Factors influencing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in cyberbullying situa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8, 273-28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tial, psychologic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reactions of bystanders witnessing cyberbullying.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bystander effect’ is valid in cyberbullying situations. In addition, a moderation effect of the presence of other bystanders was examined between various influencing factors and bystander's defending tendency. A total of 10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experiences of 331 students who have witnessed cyberbullying were analyzed. First, four types of bystanders were found: outsiders were the majority (n=201, 60.7%), followed by defenders (n=101, 30.5%), reinforcers (n=18, 5.4%), and assistants (n=11, 3.3%). Second, bystanders demonstrated more defending behaviors in the absence of other bystanders, thereby validating the ‘bystander effect’ in cyberbullying situations. Third, low moral disengagement, low anti-social conformity, high perceived control of the situation and bad relationship with bulli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a bystander's defending tendency. Finally, the presence of other bystanders moderated the effect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the bystander's defending tendency in relation to bull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yberbullying are discussed.

진천사, 오인수 (2018).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9(4), 995-1019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 중에서 루머를 확산하는 형태의 괴롭힘에 주목하여 루머 확산의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해자와 피해자가 모두 남학생 또는 여학생으로 구성된 단톡방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루머 확산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반응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에 또래 동조성, 도덕적 이탈, 지각된 학급규준 및 사회적 유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사천성 성도시(四川省成都市)소재의 4개 중학교 2, 3학년의 학생 4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변인 유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피해자 모두가 남학생으로 구성된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주변인의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위의 4가지 심리적 변인이 주변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의 한 유형인 루머 확산에 초점을 두어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오승화, 오인수 (2018).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개인, 또래, 교사, 학급 변인이 괴롭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9(4), 1-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peers, teachers and class factors and the participants’ reactions to bullying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Results of a survey completed by 828 5th and 6th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s, peers, teachers, and class factors on participants’ reaction to bullying in addition to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grade and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act negatively to bully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fenders and other participants in terms of individuals, peers, teachers, and class variables. Thir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participants’behavior among the groups of bullies, assistants, outsiders and defenders. As for defenders, the teacher related variables were more explanatory of their behaviors compared to other participants such as assistants or outsiders. Based on the results,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targeting individual factors of participants were suggested.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how to increase defending behaviors from on ecological perspective including peers, teachers, and classes as well as individual areas

오인수, 임영은, 이선아 (2018). 학교폭력 가해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평가문항 개발 및 타당화. 교육문제연구. 31(3), 1-33.

본 연구의 목표는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폭력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평가하는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폭력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인별로 각 요인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선행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기존의 평가도구를 바탕으로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추출했다. 구성된 예비문항에 대해 델파이 방법으로 평가문항을 추출했다. 추출된 평가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1,000명의 중학생에게 설문을 송부했으며, 이 가운데 604부가 회수되었고, 클리닝 후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559부이다. 이후 평가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요인분석은 교차타당화 방식을 적용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의 잠재적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이론적 요인구조의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23요인, 93문항이 최종 학교폭력 가해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평가문항으로 확정되었고,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허수진, 오인수 (2018). 초등교사가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요인 및 도전요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9(3), 767-793.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이 어떤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정착과 질적 제고를 위하여 회복적 생활교육의 도전 요인을 동시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제로 학급경영의 한 방법으로 실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7명에 대해 초점질문을 통해 인터뷰한 결과를 8명의 교사가 유사성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후 인터뷰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효과 요인은 9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학생의 의사소통기술 향상, 군집 2는 긍정적 학급 분위기, 군집 3은 학교폭력 문제의 예방 및 개선, 군집 4는 학생의 전인적(인지·정서·행동) 발달, 군집 5는 교사-학생의 신뢰관계 형성, 군집 6은 학생 간 갈등 감소, 군집 7은 교사 자신의 긍정적 변화, 군집 8은 학부모의 긍정적 변화, 군집 9는 교사의 전문성 강화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도전 요인으로 9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법·제도 제반 미흡, 군집 2는 인식전환의 어려움, 군집 3은 열악한 실천 여건, 군집 4는 적용범위 설정의 어려움, 군집 5는 내면화의 어려움, 군집 6은 동료와 관리자의 인식 및 지지 부족, 군집 7은 적용 초기의 효과성 한계, 군집 8은 체제적 지원의 부족, 군집 9는 교사 개인의 적응 및 준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이 학생과 학급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의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추출하였다는 점과 동시에 도전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오인수, 손지향, 조유경 (2018).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들의 ‘대2병’ 경험 분석 연구. 교육과학연구, 49(3), 27-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ience of “Sophomore Syndrome”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Grounded Theory(GT). Eight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undergoing ‘Sophomore Syndrom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focusing on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syndrome was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GT). As for the causal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achievement-oriented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 based on popularity rather than aptitude were likely to increase the syndrom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competitive culture in college, low employment rate due to economic recession, and preference on employment of professional works also influenced the degree of the syndrome. Thus, college students undergoing ‘Sophomore Syndrome’ demonstrated central phenomenon such as low self-esteem, increased frustration and anxiety, decreased concentration and avoid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garding action/interactions strategies, they devoted themselves in enhancing qualifications, securing for stable jobs, satisfying parent’s expectation, or utilizing leave of absence to avoid painful reality.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internal conflicts, major mismatch, psychological burden on parents were exacerbating the central phenomenon. As a result, they ended up with sacrificing themselves in order to live up to social expectation, blindly applying for jobs, exploring their own values or postponing career exploration in the midst of chaos and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Sophomore Syndrome’ from academic perspective for the first time, there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a hard time in adjustment from the second year in colleg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a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문미영, 오인수 (2018).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효과. 교육과학연구. 49(3), 1-29.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ystanders' role types (follower, outsider, defender),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bystanders' role as a mediator for the effective bullying prevention and proactive interv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bystanders' behaviors, we also explored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ing styles (rejection, overprotection, emotional warmth), character strengths (humanity, courage, justice), and bystanders' behaviors (follow, look on, defense).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were given out to a total of 1,005 boys and girls in grade 1 through 3, from 34 classes of 17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all virt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ystanders' role types. Moreover, rejective, overprotective, and affectionate parenting styles statically predicted followers' behavior, outsiders' behavior, and defenders' behavior respectively, and overprotective and affectionate parenting statically predicted the children's character strengths manifestation. Meanwhile, rejective parenting did not predict it. Also, the character strengths predicted followers' and outsiders' behavior negatively, and defenders' behavior statical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character strength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oth `overprotection-look on' and `emotional warmth-defense', excluding `rejection-follow'; thus proving the influence of character strength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in parents' parenting styles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character strengths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looking on and follow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and the promotion of defending behavior. In addition, it holds its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bystanders' role types, as well as the basis for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김신영, 오인수 (2018). 외상 후 스트레스로서의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노출과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교사교육연구, 57(3), 383-398.

본 연구는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 노출, 성장적 반추,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과 이를 통해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을 돕는 상담적 개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의 교사 404명을 대상으로 학생에게 당한 폭력 피해 경험, 사회적지지, 자기 노출, 외상 후 스트레스, 성장적 반추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여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적 반추의 완전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를 성장적 반추를 통해 재해석 할 경우 외상 후 성장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가 의도적·건설적으로 피해 사건을 재해석 하도록 돕는다면 외상 후 성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지지에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변의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근 교권침해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내적, 외적 보호요인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폭력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의 성장적 반추를 촉진하는 인지적 상담 기법과 사회적 지지를 촉진하는 지지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박경민, 오인수 (2018). 또래간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의 도움요인에 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교육학연구. 24(3), 77-101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피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도움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생이 인식한 도움요인 뿐만 아니라 해결과 개입의 주체인 교사들의 경험적 인식을 함께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가 경험하는 도움 요인을 피해학생, 전문상담교사, 사안담당교사가 각각 어떻게 인식하는지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예비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점질문을 개발한 후 중학교에 재학 중인 피해학생 10명, 전문상담교사 11명, 사안담당교사 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36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개별 면접 참여자를 포함하여 집단별 20명씩 총 60명에게 유사성에 근거한 진술문 분류와 중요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어서 분류 자료를 집단 유사성 행렬표로 합산하여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움의 방법에 따라 나뉜 한 차원에서는 세 집단 모두 ‘직접적·행동적 vs 간접적·관계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도움의 주체에 따라 구분된 다른 차원에서는 세 집단의 군집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과 사안담당교사는 ‘부모·학교 vs 개인’ 차원으로 구분한 반면, 전문상담교사는 ‘학교 vs 개인’ 차원으로 구분되고 ‘부모’ 군집이 그 중간에 위치하였다. 군집간 거리에 따른 유사성의 정도와 군집별 중요도에 대한 평정 결과도 집단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의 개입과 중재, 상담적 접근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김현수, 오인수 (2018).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 탐색: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9(2), 375-40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생활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개념도 분석을 통해 체계화 하는 것이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교사로서 생활지도를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라는 초점 질문을 개발한 후 총 13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아이디어 생성을 위한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디어 진술문을 생성하였다. 이후, 예비조사를 통해 확정한 생활지도 내용 영역 35개, 방법 영역 63개 아이디어 진술문에 대해 총 21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 및 문항평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지도 내용 개념도는 ‘학교규칙 및 행동규범-심리적응 및 태도’와 ‘사회적 발달-개인발달’의 두 차원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술문의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지도 내용은 크게 1) 학교규칙 준수, 2) 사회규범 행동, 3) 신체, 관계 및 언어폭력, 4) 대인 관계, 5) 적응 심리 및 행동, 6) 개인 역량 및 태도, 7) 교사-학생 관계 및 학습태도의 일곱 가지 내용으로 분류되었다. 생활지도 방법의 경우,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교사의 내적 자원 활용 방법-교사의 외부 자원 활용 방법’과 ‘비지시적 방법-지시적 방법’의 두 차원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생활지도 방법은 크게 1) 학생 이해 및 소통, 2) 간접적 개입, 3) 직접적 개입, 4) 학부모 및 교내외 지지체제와 연계, 5) 교내 교사와 협력, 6) 교사 학습 기회 활용의 여섯 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생활지도와 교과의 균형적 구성의 필요성, 교사 외부 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 및 예비교사교육 및 현직교사 연수 필요성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정지혜, 오인수 (2018).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 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또래 관계의 질과 또래 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6(2), 575-605.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G와 I지역의 중학생 530명에게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청소년의 공감은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방관행동, 방어행동, 가해동조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공감이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은 높았으며 또래관계의 질이 높은 경우 또래동조성은 낮았다. 또한 또래동조성이 높을 경우 방관과 가해동조행동의 정도는 높았으나 방어행동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방관·가해행동을 줄이고 피해자를 돕는 방어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공감, 또래관계의 질, 또래동조성을 함께 고려하는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최유진, 오인수 (2018).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 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7(2), 5-23.

본 연구는 괴롭힘 현상을 가해󰠏피해의 양자구도를 넘어 주변인을 포함한 집단 역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학기 중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2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한 후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 22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학년 및 괴롭힘 경험유형과 주변인 행동유형(동조행동, 방관행동, 방어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변인의 행동유형(방어행동 vs, 방관행동)에 따라 피해학생의 반응(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저학년일수록, 여학생일수록, 과거에 가해경험이 적을수록 주변인의 경우 피해학생을 방어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이 방관할 때보다 방어할 때 피해학생의 통제욕구와 통제지각 및 적극적 대처수준은 높은 반면 소극적 대처수준은 낮아졌다. 이러한 차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학생의 반응은 주변인의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주변인의 행동에 따른 피해학생의 반응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 예방 및 개입할 때 피해학생의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주변학생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실시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논의했다.

김현수, 오인수 (2018).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생활지도의 핵심개념 및 교직 경력에 따른 차이 탐색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교육원, 27(1), 1-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ey concept of guidance which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based on Focus Question asking “How and what kind of guidance do you perform as a teacher?” Data was collected based on interview with 13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 on guidance.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concept of guidance was extracted, and differences of the concept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of teachers divided by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four key concepts of guidance: 1) Guidance with care, conversation and counseling, 2)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from their perspective, 3) Differentiated guidance in terms of gender, 4) Network with parents. The differences of the key concept of guida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nfirm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er training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박예라, 오인수 (2018). 초등학생의 괴롭힘 경험과 주변인 행동의 관계: 또래 동조성과 학급 규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9(1), 1-2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 괴롭힘(bullying)가해 및 피해경험이 괴롭힘 주변인(bystander)방어행동의 관계 및 이를 조절하는 사회맥락적 특성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신체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 장면의 주변인행동, 또래동조성, 지각된 학급규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자료는 교차분석 및 독립성검증, 상관분석, 범주형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동조자 행동이,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방관자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괴롭힘 가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동조자 또는 방관자로 행동하게 되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반면 피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예측하지는 못했다. 셋째,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 또래동조성과 지각된 학급규준이 주변인행동을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또래동조성의 주변인행동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급규준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경험 및 사회적 맥락 특성과 주변인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신체적, 관계적 괴롭힘 상황으로 나누어 주변인행동에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과 주변인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효과적인 상담 및 중재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lease reloa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