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23

학교 어린이

​오인수, 반지윤, 김현수 (2023).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개념도 분석. 교원교육, 39(6). 57-85.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를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초점집단 면담을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61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연구진 3인의 합의를 거쳐 3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6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 중요도와 수행도 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의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환경 적응 vs, 내적 조절, 집단 적응vs 개인 적응)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 군집은 구체적으로, 유아교육 기관과는 다른 초등학교의 환경과 일과에 익숙해지기(군집1), 낯선 상황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이겨내고 심리적 안정감 유지하기(군집2), 기초학습 능력 및 기본생활습관 기르기(군집3), 주의집중하고 충동성을 조절하기(군집4),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배려하기(군집5), 학교 규칙을 지키며 안전하게 생활하기(군집6)이었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초등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의 입학 초기 부적응에 대한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관련 요소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디지털 네트워크

오인수, 반지윤, 손지향 (2023).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교육발전, 43(2). 371-400.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분석에 기반하여 GOLDEN 성격유형 검사의 포괄척도와 세부척도 유형에 대한 2-mode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60대 연령층 1,450명을 대상으로 GOLDEN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결과 프로파일 자료는 NetMiner 4.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mode 네트워크 분석하여 성격유형 구조를 계량화, 시각화하였다. 이때, 포괄척도는 노드(node)가 되고 세부척도 값은 링크(link)의 가중치(weight)로 저장된다. 분석 절차는 데이터 전처리,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GOLDEN 성격유형의 포괄척도와 세부척도 간 연결정도를 분석하여 포괄척도에 따라 가장 두드러지는 성격유형과 세부척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포괄척도에 따라 2-mode의 연결 중심성 위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구조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타당도 검증 결과를 뒷받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해피 청소년

양수연, 오인수 (2023).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3(3), 23-52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근거하여 장기적 관점에서의 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청소년의행복감과 영향요인의 종단적 관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패널 총2,160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잠재성장 무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행복감의 변화궤적을 확인하였으며, 잠재성장 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그릿, 학업열의, 그리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 및부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예측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 행복감은 4차년도에걸쳐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그릿과 학업열의, 그리고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 행복감의 초기값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행복감이 감소하는 속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적 학업 관련 변인을 활용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공부를하는 과정에서도 행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행복 증진을 위한 보다 장기적 차원의 교육적 개입의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배우는 재미

​오인수, 김현수, 반지윤 (2023).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에 대한 개념도 연구. 교육문화연구, 29(4), 443-463.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 활용한 방법은 개념도 방법이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으로, 초점질문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둘째, 아이디어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최초 59개의 진술문은 연구자 3인의 합의를 거쳐 총 44개의 진술문으로 확정하였다. 셋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수행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담임경력을 가진 초등학교 교사였다. 넷째, 결과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유사성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성 행렬을 작성하고 다차원척도분석 및 위계적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또한 중요도 및 수행도 평균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6개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가정환경특징-학생개인특성, 사회정서역량-적응촉진환경)의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각 군집을 기준으로 개념도 및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결과의 시사점을 1)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간 연계, 2) 과도한 사교육 참여의 지양, 3) 집행기능의 향상, 4) 사회적 유능감의 향상, 5) 교사에 대한 아동의 긍정적 인식 제고, 6) 부모와 협력적 관계 형성의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선생님과 학생

김현수, 반지윤, 오인수 (2023).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교사교육연구, 62(3), 213-226. ​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음의 연구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11명이며, 초점질문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진술문 추출단계에서 61개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연구자 3인의 합의를 통해 총 34개 진술문을 확정하였다. 셋째, 유사성 분류 작업과 중요도-수행도 문항 평정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앞선 초점질문 인터뷰에 참여했던 10명을 포함하여 26명으로,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직무 경력을 가진 현직 교사이다. 넷째, 개념도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유사성 분류 결과를 기초로 집단 행렬을 작성하고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개념도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통해 군집별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개입-이해, 조직화-상호작용)의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개념도의 각 차원을 중심으로 개념도 및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1) 이해: 학생지도의 기본 조건인 학생 이해, 2) 개입: 발달 수준을 고려한 섬세한 개입, 3) 상호작용: 교사가 재구성하는 특별한 수업, 4) 조직화 : 학생지도의 전제가 되는 교사의 동기 및 태도의 네 가지로 논의하였다.

다민족의 친구 그룹

김서정, 오인수 (202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수용태도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교육과학연구, 54(2), 21-49.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수용태도, 학교폭력 피해경험, 자아존중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발달과정을 파악하고, 문화수용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1,635명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패널데이터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국인 부모나라의 문화수용도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인 부모나라의 문화수용도 초기치는 자아존중감과 학교폭력 피해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고, 한국문화수용도 초기치 및 변화율과 외국인 부모나라의 문화수용도 변화율이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자아존중감은 문화수용태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외국인 부모나라의 문화수용태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는 비일관적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수용태도가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과정을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학교폭력 피해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방안으로서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개입 방향을 논의하였다.

배낭이있는 어린이

최수연, 오인수 (2023).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특별교육 실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54(1), 103-133. 

학교폭력은 여전히 우리 교육계에 커다란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중등학교와 비교하여 초등학교 내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가 급증하여 가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특별교육이 초등학교 내에서 증가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진행되는 가해 학생 대상 특별교육의 효과와 장점, 한계점과 단점을 확인하고 특별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위하여 전문상담교사 8명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의 실시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영역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내 특별교육의 효과 및 장점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 높은 접근성, 빠른 라포 형성, 원활한 추수 지도, 즉각적인 소통, 교내 전문상담교사의 입지 강화 그리고 학생에 대한 낙인 방지라는 범주가 확인되었다. 둘째, 교내 특별교육의 한계점및 단점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량 증가, 학생과 관계 형성의 어려움, 비밀보장의 어려움, 학생이 가지는 부정적 인식, 그리고 정보 전달의 효율성 저하라는 범주가 확인되었다. 셋째, 특별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 영역에서는 특별교육 매뉴얼, 특별교육 연수 그리고 교내 협력 관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현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현장감 있는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상담

오인수, 반지윤, 김현수, 박연옥, 이은지, 송아름, 김주희 (2023).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에 대한 개념도 분석. 교육발전, 43(1), 67-96.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을 실천하는 기관의 실무경력 평균 3년 이상인 연구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 역량에 대한 117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5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8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 분석, 위계적 군집분석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2차원(인간적 자질-전문적 자질, 이주배경에 대한 지식과 태도-상담기법)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6개의 개념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58개의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각각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그 핵심개념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청소년 및 라이브러리

오인수, 김현수, 반지윤, 박연옥, 이은지, 김주희, 송아름 (2023).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의 특수성 탐색. 청소년상담연구, 31(1), 1-2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의 특수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청소년 상담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합의적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의 특수성은 내담자 특성 8개, 상담관계 6개, 기관 필요성 5개, 체제 7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결과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이주배경청소년의 특성, 곧 이주과정에서 형성된 부모에 대한 적대감 및 상실감과 사회적 적응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필요하다. 둘째, 상담통역지원사를 활용하고 이해 및 공감을 우선으로 하는 상담관계의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상담자양성과 맞춤형 정보 및 자원 연계가가능한 이주배경청소년 상담 전문 기관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 심리・발달 검사 체제등 다양한 지원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담적 논의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신문을 읽는 남자

한유나, 오인수 (2023).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경험 및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교원교육, 39(2), 117-146. 

본 연구는 저경력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경험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주관적인식을 개념도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10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소진 경험에 대한 진술문25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진술문 27개를 도출하고 인터뷰 참여자를 포함하여 20명의 저경력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진술문 유사성 분류에 참여하였으며 SPSS 29.0을 활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진행하고 진술문별 유사도를 평정하여 2개의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의 경험은 5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상담 효능감 및 몰입도 저하’, 군집 2는 ‘신체적 증상’, 군집 3은 ‘부정정서 경험의 극대화’, 군집4는 ‘업무처리의 어려움’, 군집 5는 ‘우울 관련 정신병리적 증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경력 초등학교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을 촉진하는 요인은 6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동료교사의 인식부족’, 군집 2는 ‘학부모의 인식 부족’, 군집 3은 ‘관리자의 인식 부족’, 군집 4는 ‘전문성 및 역량 부족’,군집 5는 ‘학교상담 체제의 미확립’, 군집 6은 ‘학교상담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에 대해 최초로 연구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초등학교 상담에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논의하였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