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ha School Counseling Research Lab
Dr. Insoo Oh's Homepag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24

최아린, 김민혜, 오인수 (2024).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교폭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5개년 기본계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31(12), 85-114.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정 이후 지난 20년간 수행된 학교폭력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넷마이너 4.5의 확장 프로그램인 비블리오 데이터 콜렉터를 활용해 2004년부터 2023년까지 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학교폭력 관련 연구 1,680편을 수집하였고, 이 중 1,664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학교’, ‘청소년’, ‘경험’등의 단어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의 주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주제는 ‘학교폭력 대응 및 대책’, ‘학교폭력 경험 관련 변인’, ‘사이버폭력 경험 관련 변인’, ‘교육을 통한 학교 구성원들의 학교폭력 인식 변화’, ‘학교폭력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및 효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20년간의 학교폭력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1~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학교폭력 예방 연구의 방향성과 학문적·정책적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주선, 오인수 (2024). 위(Wee) 센터 종사자가 지각한 조직 내 갈등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긍정적 직무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42(4), 135-163.
본 연구는 위(Wee) 센터 종사자가 지각한 조직 내 갈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직 내 갈등은 관계 갈등과 과업 갈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조직 내 갈등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 직무 태도가 매개하는지, 사회적 지지가 조직 내 갈등과 긍정적 직무 태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조직 내 갈등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긍정적 직무 태도의 매개 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위(Wee) 센터 종사자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과 결과, 위(Wee) 센터 종사자가 지각한 조직 내 갈등은 긍정적 직무 태도과 부(-)적 상관을, 이직 의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적 직무 태도는 이직 의도와 부(-)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긍정적 직무 태도는 조직 내 갈등과 이직 의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갈등이 긍정적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조직 내 갈등의 종류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였다. 종사자가 지각한 관계 갈등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긍정적 직무 태도의 매개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과업 갈등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긍정적 직무 태도의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Wee) 센터의 조직 내 갈등관리 방안과 사회적 지지 향상 방안을 논하였다.

곽소영, 오인수 (2024). 학교폭력 사안처리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학교상담자의 불순응 인식 분석. 교육과학연구, 55(4), 221-247.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가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순응을 Coombs의 불순응 이론에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의사소통, 자원, 정책, 행위, 권위 불순응의 범주에 따라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학교상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 원인을 정책의 관점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사례는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정책 대상자인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불순응’으로 선정하였고 질적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상담자 5명과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학교폭력사안 처리 집행과정에서의 불순응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경험들은 Coombs의 불순응 이론에 근거하여 2차에 걸쳐 코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학교상담자의 불순응 양상은 5가지방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소통 관련 불순응에서는 교내 의사소통 부족 및 모호한 지침이 원인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자원 관련 불순응에서는 상담 프로그램 및 운영시간, 예산과 지원 부족이 지적되었다. 정책 관련 불순응은 목표 불순응과 신념 불순응이 모두 나타나 상담자의 직업적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업무로 인해 상담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행위 관련 불순응에서는 제도 자체에 대한 불신이나거부감 등으로 상담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답하였으며 권위 관련 불순응 요인으로는 비현실적인업무 지시와 업무에 따른 보상의 부재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상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불순응 양상을 보완하고 상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오인수, 손지향, 최아린 (2024).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상담자의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과 제한점 탐색. 교원교육, 40(6), 87-115.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상담자가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대면 상담 기술을 탐색하여 학교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양적 혼합 연구 방법론인 순차적 탐구 혼합 연구 설계(sequential exploratory mixed methods design)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비대면 상담 경험이 많은 학교상담자 13명을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을 고려하여 3개의 집단으로 구성하고,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FGI(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해 지난 3년간 적용해왔던 비대면 상담 기술에 관한 활용도, 효과성, 제한점 등의 질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FGI를 통해 수집된 비대면 학교상담 기술 자료는 미국학교상담자협회(ASCA)에서 제안한 학교상담자 역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이어서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추후 현장 보급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출된 비대면 상담 기술에 대해 활용도와 효과성을 설문지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후 비대면 상담 경험이 많은 학교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접적 교수(instruction)관련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6가지와 제한점 5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심리 평가(appraisal)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5가지와 제한점 3가지, 심리 상담(counseling)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6가지와 5가지 제한점이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상담자가 비대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기술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김이현, 오인수, 반지윤 (2024).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이주배경 구성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연구동향 분석. 교육발전, 44(2), 295-327.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족법이 제정된 2008년부터 16년간 KCI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38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국문초록을 바탕으로 최종 1,76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을 위하여 NetMiner 4.5를 활용하였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LDA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키워드 출현빈도, 동시출현 키워드 쌍, 중심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LDA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5개의 토픽이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학문적 발전을 위하여 연구 방향성을 검토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장문선, 오인수 (2024).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사회ㆍ정서적 특성 및 학교 적응을 위한 상담 활동: 합의적 질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55(3), 31-59.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경계선 지능 학생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심리적 특성을 가까이에서 관찰할수 있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학교 적응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계선 지능 중학생에 대한 상담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경계선지능 중학생에게 필요한 사회ㆍ정서적 지원에 대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합의적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7개의 영역과 3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영역은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대인관계 특성,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정서적 특성, 경계선 지능 중학생이 또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정서적 특성의 원인,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학교 적응을 어렵게 하는 요인, 전문상담교사의 경계선 지능 중학생과의 상담 경험,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경계선 지능 중학생에게 효과적인 상담 전략,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지원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경계선 지능 중학생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사회ㆍ정서적 어려움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계선 지능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ㆍ정서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

홍세정, 오인수 (2024). 영재의 완벽주의와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교육과학연구, 55(1), 225-241.
본 연구는 영재의 대표적인 심리적 특성인 완벽주의가 학습의 중요 요소로 알려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완벽주의의 2가지 측면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이 그릿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영재중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조절학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릿에 의해 조절되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영재의 보호요인으로서 그릿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요인 중 완벽주의와 그릿이 미치는 영향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진달래, 오인수 (2024). 가족건강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6(3), 901-920.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어떤 심리적인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는지 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자아분화가 매개하는지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가 앞서 두 변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연구대상 3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였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대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낮은 가족건강성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자아분화 혹은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