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23

어린이 과학 수업

홍세정, 오인수 (2024). 영재의 완벽주의와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교육과학연구, 55(1), 225-241.

본 연구는 영재의 대표적인 심리적 특성인 완벽주의가 학습의 중요 요소로 알려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완벽주의의 2가지 측면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이 그릿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영재중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조절학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릿에 의해 조절되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영재의 보호요인으로서 그릿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요인 중 완벽주의와 그릿이 미치는 영향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가족

진달래, 오인수 (2024). 가족건강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6(3), 901-920.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어떤 심리적인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는지 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자아분화가 매개하는지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가 앞서 두 변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연구대상 3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였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대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낮은 가족건강성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자아분화 혹은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bottom of page